[이문정 평론가의 더 갤러리 (97)] ‘홍승혜 개인전: 복선(伏線)을 넘어서 Ⅱ’

“물질로서의 미술보다 모니터 속 미술이 더 편하고 좋아”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기자 2023.12.22 15:40:20

(문화경제 = 이문정 미술평론가, 연구소 리포에틱 대표) 더 갤러리 이번 회는 작가 홍승혜와의 인터뷰를 싣는다.

- 이번 전시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것은 아니지만 장 뤽 다발(Jean-Luc Daval)의 ‘추상미술의 역사’(1990, 미진사)를 번역하시게 된 계기가 궁금하다. 이 책을 오래전부터 가지고 있었는데, 선생님께서 번역하신 것을 이번에 알았다.

유학을 마치고 한국에 돌아왔는데 프랑스가 그리웠다. 당시 알리앙스 프랑세즈에서 강의하고 있었는데 번역을 하면 프랑스에 몇 개월 머무를 수 있도록 지원해주는 장학금이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그러던 중 선배였던 문범 작가의 소개로 미진사에서 ‘추상미술의 역사’를 번역하게 되었다. 책의 주제도 나에게 딱 맞았다. 한 1년 정도 걸려서 출간할 수 있었다. 내 작업, 그리고 학교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데에도 정말 큰 역할을 했던 책이다. 결과적으로 번역도 하고, 4개월 동안 프랑스에 머물 수 있었다.
 

국제갤러리 1관(K1) 홍승혜 개인전 ‘복선伏線을 넘어서 II(Over the Layers II)’ 설치 전경, 이미지 제공 = 국제갤러리

- 대학교 1~2학년 때는 사실적인 것을 잘 그리고 싶다는 마음이었고 렘브란트(Rembrandt Harmenszoon van Rijn)를 좋아했는데, 3학년 때 마티스(Henri Matisse)가 보여준 색채와 형태의 자율성에 매료되어 점점 추상적인 작업을 하게 되셨다. 또 유학 시절에는 앵포르멜적인 작업도 진행하셨다. 특히 쉬포르 쉬르파스(Support Surfaces)에 영감을 받은 콜라주 중 ‘외계인’(1991), 1995년 국제갤러리 개인전에서 발표한 콜라주 작업에서 기하학적인 형상들의 징조가 보인다. 이후 기하학적 형상은 작업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도시에서 성장하고 살아오셔서 기하학적 이미지에 익숙하다는 말씀을 해주셨고, 컴퓨터에 기반한 작업이라는 점도 이유가 될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꾸준히 기하학적 형상이 등장하는 또 다른 이유 - 작가 개인의 미적 취향, 혹은 개념 등 - 가 있을 것 같다. 관련해 조금 더 말씀을 듣고 싶다.

당연히 내 취향의 영향이 있을 것이다. 유기적인 형태에도 관심은 없었던 건 아니다. 다만 내가 붓과 물감을 사용하지 않게 된 가장 큰 이유는 그리고 싶은 대상을 찾지 못해서였다. 인물, 풍경처럼 자신이 그리고 싶은 대상을 찾아야 하는데, 나는 대상보다는 무언가를 그려내는 방식이나 구조(구성)에 관심이 있었다. 이건 마티스의 작업과도 연결되는 지점이다. 미술에서의 구성은 마치 음악에서 음을 어떻게 배열하는가와도 비슷하다. 음악은 시각적으로 표현되지도 않고 제한도 없지만 어떤 울림을 준다. 그처럼 본질적인 미술의 요소들, 미술의 구조적인 측면에 관심이 갔고, 백지에서 싹이 돋는 것 같은 형태의 구축, 레고로 집 짓기 놀이하듯이 뭔가를 만들어가는 작업이 나에게 중요한 방법론임을 깨달았다.

 

국제갤러리 1관(K1) 홍승혜 개인전 ‘복선伏線을 넘어서 II(Over the Layers II)’ 설치 전경, 이미지 제공 = 국제갤러리

- 서울과학기술대학교(서울산업대학교) 재직 중 모든 것이 전산화되었고, 1997년 컴퓨터라는 매체를 만나셨다. 이후 그림판에서 시작해, 장식적 패턴을 그리기 위한 포토샵도 하셨고 6개월 만에 작품을 선보이셨다. 픽셀을 중심으로 오직 조형 요소와 구성, 시각성에 주목한 ‘유기적 기하학’이었다. 점차 컴퓨터 작업이 모니터 밖으로 나와 평면, 입체, 벽화, 공간 설치, 가구 등으로 확장되었다. 처음 컴퓨터를 이용한 작업을 발표하셨을 때 주변의 반응이 어땠는지 궁금하다. 1990년대에 이런 작업 방법과 개념을 발표하셨다는 게 놀랍다.

주변에서 이상하게 생각했다. 그림 같지 않다며 걱정하는 사람도 있었다. ‘결과물이 너무 단순하고 싱겁다’는 이야기였다. 획기적인 무언가를 하겠다는 마음은 아니었다. 붓으로 캔버스에 그리는 작업에 한계를 느꼈을 때 어떤 만남이 있었던 거다. 내가 수용할 수 있는 물리적 규모가 한정적인 작업을 벗어나고도 싶었다. 나는 얼리어답터도 아니고, 의식적으로 새로운 것을 찾는 타입은 더더욱 아니다. 무엇보다 나는 캔버스 안의 세계를 들여다보는 창문으로서의 그림보다 오브제로서의 그림을 더 흥미로워하는 사람이다. 이전부터 액자와 그림이 걸리는 위치, 간격에 신경 썼다. 그림을 오브제로 대한다는 것은 공간에 관심이 있다는 뜻이다. 컴퓨터 모니터 안에는 기하학적 도형이 있고, 확대해도 이미지의 힘이 빠지지 않았다. 아마 내가 대학교에 재직하지 않았으면 그러한 작업을 시작하지 못했을 거다. 기계를 좋아하지 않는데 학교 업무를 컴퓨터로 처리해야 한다고 해서 시작하게 된 타이핑 연습이 너무 재미있었다. 그러다 우연히 그림판을 발견했고 나만의 화폭을 발견한 거다.
 

홍승혜, ‘콘솔/테이블’, 2023, Birch plywood, acrylic latex paint, 60 × 80 × 81.5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 안천호, 이미지 제공 = 국제갤러리

- 모니터 안은 가상의 공간이지만, 시작도 끝도 없는 무한의 공간이다.

맞다. 우주이다. 우주적인 공간감도 나에게 매력적으로 다가왔다. 지금 전시 ‘복선(伏線)을 넘어서 Ⅱ’가 진행 중인 국제갤러리 3관을 보면 우주에 대한 나의 욕망과 관심을 확인할 수 있다. 우주도 우리가 물리적으로 만질 수 없는 가상공간과 같다. 2009년 네이버캐스트에 실렸던 인터뷰 제목인 ‘미술가 홍승혜: 모니터 안에 우주가 있다’도 그런 나의 관심을 보여준다. 당시 인터뷰를 진행한 기자가 몇 개의 제목을 제안했는데 내가 최종적으로 선택한 제목이다. 또 천문학자가 아니어도 그냥 하늘에 관심 있는 사람들이 있을 거다. 감성적이라 느낄 수도 있을 텐데 나는 유년 시절 하늘을 보며 구름 위에 살고 싶다고 상상한 적도 있고, ‘어린 왕자(Le Petit Prince)’를 떠올린 적도 있다.

- 붓질이 전혀 보이지 않는 완벽한 평면을 표현하기에 실크스크린이 가장 유용해서 선택했다고 하셨는데, 회화가 아닌 판화/인쇄인 실크스크린을 선택하는 데에도 결단이 필요했을 것 같다.

그때는 지금보다 더 실크스크린(판화)에 편견이 있었다. 그런데 나는 원래 주변을 별로 신경 안 쓰는 편이다. 내가 좋아하는 것에 집중해 그것을 밀고 나가는 성향이 있다. 그 정도로 실크스크린이 좋기도 했다. 실크스크린의 매끈한 색면이 주는 쾌감이 있었다. 마티스가 말년에 콜라주를 할 때의 감각이 나에게도 있었던 거다.
 

홍승혜, ‘꽃이 피면’, 2023, Birch plywood, acrylic latex paint, 60 × 80 × 81.5cm, 160 × 5 × 1.5cm(1 bar),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 안천호, 이미지 제공 = 국제갤러리

- 인간 픽토그램이 등장하면서 그 안에 더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게 되었다고 말씀하신 인터뷰를 보았다. 그렇다면 이전 작업에서는 오직 시각적인 부분에만 집중하신 것인가? 또 인간이 등장하는 작업에는 어떤 이야기가 담기는지, 여전히 구체적인 혹은 상징적인 이야기는 없는 것인지 말씀해주시면 좋겠다.

내용이 없는 작품은 없다. 뭐든 다 의도가 있고, 의도가 내용이 될 수 있다. 다만 사람이 등장하기 전의 형태들은 대체로 기하학적이고 건축적인 도형들 혹은 순수한 창문이나 계단처럼 픽셀을 쌓으면 나올 수밖에 없는 것들이었다. 벽돌을 쌓다 보면 집 모양이 나오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기하학적인 형상을 쌓아 우리 주변의 사물을 만들기도 했다. 사물에서도 이야깃거리를 찾을 수 있지만 사람과는 다르다. 사람은 말하기도 하고, 어린이 합창단, 무용수, 밴드처럼 정체성을 부여할 수도 있다 보니 자연히 이야기가 나올 수밖에 없다. ‘SeMA 비엔날레 미디어시티서울 2016’에서는 유령이 등장했다.

- 인터뷰에서 밝히신 것처럼 움직인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증거이다. 모니터 속 세상이 세포, 생명체가 자라나는 자연계와 같다는 말씀에도 공감한다. 컴퓨터는 무궁무진한 가능성이 잠재된 세계이다. 그러나 그곳은 가상의 세계이고, 실제 자연계와는 차이가 있다. 그런 점 때문에 오프라인 세계로 작품을 확장하신 것은 아닌지 궁금하다.

지금은 조금 달라졌다. 그냥 모니터 안에 머물러 있어도 되겠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영상 작업을 지속하고 있고, 누구나 가상공간에 머물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처음 픽셀 작업을 시작했을 땐 가상공간이 삶의 주 무대도 아니었고, 미술은 물질로 존재해야 한다는 고정관념도 있었다. 또 내가 그림을 그렸기 때문에 현실에 존재하는 어떤 형태를 만들어야 한다는 의무감이 있었고, 일상의 삶에 관심이 많았던지라 생활 공간을 점유할 수 있는 오브제를 만들고 싶다는 욕망도 있었다. 그래서 디지털 이미지가 물질화된 상태를 추구했다. 그런데 오랫동안 작업하다 보니 모니터 안에 있는 게 편하고 좋다. 컴퓨터 속의 형태를 현실 공간에서 만들다 보면 오차가 생기고, 완성된 작품을 처음처럼 유지하는 것도 힘들다. 모니터 안에서는 완벽했던 형상이 불완전해지는 상황도 있다. 그래서 영상 작업을 좋아한다.
 

홍승혜, ‘나선’, 2023, Birch plywood, acrylic latex paint, 60 × 60 × 38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 안천호, 이미지 제공 = 국제갤러리

- 영상 작업 중 ‘더 센티멘탈’에서는 배경 음악을 선택해 사용했고, 이후 ‘나의 개러지밴드’(2016), ‘자화상’(2020)에서는 직접 음악을 제작하셨다. 확실히 개러지밴드를 이용한 음악은 기계적인 느낌이 강하다. 다음에 진행될 영상 작업에서도 개러지밴드를 이용하실 예정인가?

앞으로 어떻게 될지 잘 모르겠지만 조금 더 만들어 보고 싶다. 물론 다른 사람이 작곡한 음악을 가져오고 싶은 마음도 많다. 내가 위대한 작곡가들을 따라갈 수는 없다. 개러지밴드로 음악을 만들기 전에는 내가 바로크 음악을 좋아해 바흐(Johann Sebastian Bach)의 곡도 많이 썼고, 호아킨 로드리고(Joaquín Rodrigo)의 기타곡도 썼다.

- 이번에 전시된 작품 중에 ‘콘솔테이블’ 위의 비정형적인 타원, 그리고 별과 꽃의 형상에 유독 눈이 갔다. 개인적으로 형상과 색채 모두에서 가장 밝고 경쾌한 것 같다. “유년기의 추억을 회상하며 만든” 작품이라고 설명되어 있는데 어떤 유년기의 추억인지, 하늘과 우주에 대한 관심을 보여주는 별 형상의 의미는 무엇인지 설명을 부탁드린다.

동화나 영화, 신화가 이번 전시 레퍼런스의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복선을 넘어서(Over the Layers)’라는 제목도 영화 ‘오즈의 마법사(The Wizard of Oz)’(1939)의 주제곡인 ‘오버 더 레인보우(Over the Rainbow)’에서 온 거다. 오즈의 마법사나 피터 팬(Peter Pan), 팅커벨(Tinker Bell), 미키 마우스(Mickey Mouse), 그리고 월트 디즈니(Walt Disney)는 내게 큰 영향을 줬다. 어렸을 때 본 이미지들이 평생 가는 것 같다. 이 모두가 이번 전시에서 쏟아져 나왔다. 이미지 제작 툴인 일러스트레이터를 하면서 그 안에 있는 별이나 꽃 모양을 쓰게 되었고, 둥근 모양도 만들 수 있다 보니 형태가 다채로워졌다.
 

홍승혜, ‘꽃병’, 2023, Birch plywood, acrylic latex paint, 23 × 50 × 63.5cm(vase), 160 × 5 × 1.5cm (3 bars),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 안천호, 이미지 제공 = 국제갤러리

- 개인적으로 이전 작업을 성찰하고 분해해 재조합하는 ‘파편’(2008)이 매우 인상적이었다. 그리드를 해체해서 또 다른 그리드를 만든다는 점, 생성과 소멸, 다시 생성으로 이어지는 순환을 보여준다는 점에서 미학적으로도 중요한 작업이라 생각된다.

순환 그리고 생로병사에 관한 이야기이기도 하다. 내 작품을 해체한 파편이 그렇게 아름다울 수가 없었다. 부서진 조각도 모두 살아있었다. 파편이 가진 생명성, ‘파편이 다음에는 무엇이 될까?’라는 가능성에서 예측 불가능한 아우라가 생긴다. 오히려 완결된 것보다 더 강한 생명이 느껴진다. 내 과거 작업을 돌아보는 과정에서 내가 구축한 것을 다 부수고 새로 지어보자는 생각이 들어서 실행했다. 나이가 들수록 돌아볼 과거가 많아지고 풍성해진다. 레이어가 많이 쌓이니 나이 들수록 좋은 점도 있다. 끝없이 자르고 재구성하고, 계속 과거를 돌아보니 결과적으로 전시 ‘파편’(2008)과 ‘회상’(2014)에서 내 작업을 관통하는 방법론을 보여주게 되었다.
 

홍승혜, ‘모던 타임스’, 2023, Birch plywood, acrylic latex paint, 90.3 x 40 x 6.5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 안천호, 이미지 제공 = 국제갤러리

- 20세기의 미술사만 봐도 앞선 사조와 작가들에게 영향을 받으면서 그것을 초월하려는 움직임이 반복된다. 그러면서 새로운 사조들이 계속 탄생했다.

바로 그거다. 내가 나를 옹립하고 부수고, 다시 옹립하고 부수는 과정이 재미있는 거다. 한 인간의 역사가 인류의 역사를 그대로 밟고 있다. 작가 홍승혜 개인의 활동을 봐도 그렇다. 미술사와 유사한 흐름을 갖는다. 사실적인 작업으로 시작해서 마티스를 지나 앵포르멜로 갔다가, ‘유기적 기하학’으로 이동했다. 다음엔 완전히 개념미술로 갈 수도 있다. 안티 홍승혜를 계속 반복하면서 작업을 해 온 것 같다. 해방은 구속 없이는 불가능하다. 물리적인 회화의 구속에서 벗어나기 위해 컴퓨터 속 그리드를 선택했다. 이후엔 그리드가 나에게 구속이었지만, 그리드가 있었기 때문에 지금의 내가 어떤 해방감을 느끼는 거다. 또 지금의 상태가 일정 부분 지속되며 언젠가 여기에서 벗어나고 싶은 마음이 생길 것이다. 그러면 또 다른 무언가를 할 것이고, 그래서 나의 미래가 기대된다.

맨 위로